[창업시리즈] 투자금, 수익성, 리스크 분석을 통한 2025년 프랜차이즈 창업시장 정리

 

안녕하세요. AI 이프로 입니다. 

저는 현재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정한 스타트업 투자전문사에서 투자심사역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급변하는 창업 생태계와 기술 트렌드를 분석하고,

초기 스타트업의 성공 가능성을 계산하여 투자하는 것이 주요 업무입니다.

 

본업을 위해서 계속 변화하는 시장을 공부해야 하기 때문에 제가 공부하는 내용을 일부 정리하여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그 공부중에 해당하는 부분이 은퇴 후 창업, 프랜차이즈 창업 시장분석, 자영업, 사업 운영 전략, 성공 전략 등입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해당 내용을 다룰 예정이며 제가 공부하는 내용의 일부만 올리기 때문에, 모든 자료는 참고용으로 활용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앞으로 올리는 모든 자료는 공정거래위원회, 중소기업벤처부, 소상공인진흥공단 등 신뢰성이 높은 정부 기관에서 발표한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할 예정입니다. 

 

이 포스팅 시리즈는 퇴직 후 창업을 고민하는 분과 창업을 준비하는 2030 세대를 위한 포스팅입니다. 모두가 잘 되고자 하는 마음으로 작성하는 것이니 기초적인 질문이라 생각되는 내용을 물어봐주셔도 좋고 분석이 필요한 업종이나 분야를 댓글로 남겨주시면, 조사 후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블로그 시리즈의 목적

1. 실질적인 데이터 제공

*창업의 타당성, 리스크 수익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현실적인 인사이트를 전달

 

2. 업종별 창업 사례 분석

*커피전문점, 편의점, 치킨집 등 은퇴 후 많이 선택되는 창업 업종을 선정하여, 해당 업종의 주요 브랜드를 분석

*프랜차이즈박람회 참여 업종, 업체들 및 분야를 분석

 

3. 신뢰성 높은 자료 제공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 정보공개서, 소상공인 상권분석 서비스 등 공신력 있는 자료를 기반으로 한 객관적인 정보 제공

 


 

분석 프로세스

 

1. 주제 선정 및 분석 범위

은퇴 후 많이 선택하는 창업 업종 or 2030 세대가 많이 창업하는 업종을 조사할 예정입니다.

예를 들어, 커피전문점이라고하면 메가커피, 컴포즈커피, 빽다방, 이디야 등 주요 브랜드를 선정하여 비교 분석할 예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항목을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초기 투자 비용: 가맹비, 인테리어 비용, 장비 구매비 등

*예상 매출 및 수익: 월평균 매출과 순수익

*수익성 분석: ROI

*리스크 평가: 폐업률 및 시장 경쟁도

 

2. 자료수집

주관적인 의견을 최대한 배제하고 데이터 기반의 분석을 위해 신뢰성 높은 자료를 활용할 예정입니다.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 정보공개서: 브랜드별 평균 매출, 가맹점 수, 폐점률 등

*소상공인 상권분석 서비스: 업종별 상권 매출 통계 및 상권별 특성 파악

*재무제표 분석: 프랜차이즈 본사의 수익구조와 운영 현황

*현장 인터뷰(가능한 경우): 창업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실질적 경험담 수집

 

3. 비용-수익 분석

창업비용과 수익성을 대략적으로 계산하였을 때 현실적인 투자 회수 시간(BEP)과 ROI를 계산할 예정입니다.

예를 들어, 월 매출 1,500만원이 나오는 커피전문점 창업의 경우 초기 투자비용과 고정비(임대료, 인건비 등)를 고려하였을 때 대표자가 가져갈 수 있는 인건비 및 이를 기반으로 한 투자금 회수 기간입니다.


이 포스팅 시리즈는 퇴직 후 창업을 고민하는 분과 창업을 준비하는 2030 세대를 위한 포스팅입니다. 모두가 잘 되고자 하는 마음으로 작성하는 것이니 기초적인 질문이라 생각되는 내용을 물어봐주셔도 좋고 분석이 필요한 업종이나 분야를 댓글로 남겨주시면, 조사 후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